오십견(유착성관절낭염)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50대에서 주로 발병하는 어깨 질병이다. 50대 이후 어깨에 문제가 생긴다면 전형적인 어깨 질환으로 오십견을 가장 먼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의 말을 빌리면 2019년 기준 전 연령대에서 50대 병자가 남녀 각각 10만2493명, 14만6538명으로 가장 높았다. 시기적으로 3~5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기도 하는 오십견은 과연 어떤 질병일까?
오십견 초기에는 팔이 뻐근하고 굳는 느낌이 들기 시작한다. 뒤 시간이 지날수록 팔 들어올리기가 힘들어질 정도로 통증이 심해진다. 심한 경우에는 상태가 있는 쪽으로 누워 자는 것이 힘들 정도로 저녁 통증이 보이는 때가 있다. 반대로 어깨 통증으로 옷 갈아입기와 세안, 머리 코감기 등 일상생활이 힘들어지기도 한다. 문제는 오십견 초반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어깨 근육의 뭉침과 간단하게01 통증 정도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를 방치하면 통증으로 인해 어깨 사용이 줄어 기능의 범위가 더 축소될 수 있고 통증 강도가 더욱 심해질 수 있다. 그래서 관련 상태가 반복되면 빠르게 전문의사를 찾아 틀림없는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하다.
아래 항목 중 3개 이상 상태가 나타나면 전문의사를 찾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 어깨가 아파 편하게 잠을 자기 어렵다.
* 어깨 관절이 부드럽지 않게 굳은 것 같고 활동하기 힘들다.
* 어깨를 쓰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도 아프다.
* 팔을 옆이나 앞으로 올리거나 잠시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있다.
* 샤워할 때 목 잠시 뒤나 어깨를 씻기 힘들다.
* 홀로는 옷 잠시 뒤로 지퍼나 단추를 채우지 못하고 옷을 갈아입기 괴롭다.
* 손을 선반 위로 뻗거나 멀리 있는 물건을 집기 괴롭다.
* 통증은 감소하는데 어깨는 천천히 더 굳는 것 같다.
한방에서는 오십견을 얼어붙은 어깨를 서서히 녹여내듯 치료한다. 이를 위해 추나요법과 약침, 침, 한약 등을 함께하는 한방통합치료가 시작된다. 우선 어깨 주변의 삐뚤어진 관절과 근육, 인대의 위치를 바로잡는 추나요법으로 어깨 기능을 회복시킨다. 특이하게 건강보험이 반영되는 추나요법으로 병자의 치료비 부담은 줄었다. 이어 침요법을 통해 통증 완화와 기혈 순환을 돕는다. 뒤 한약재의 유효한 성분을 인체에 무해하게 정제한 약침 치료로 염증을 서둘러 없앤다. 더불어 한약 요법을 통해 근육과 인대를 강화해 치료 효과를 높인다.
만약 어깨 통증이 극심한 경우 응급침술인 동작침법(MSAT)을 실시한다. 오십견 치료에 시작되는 동작침법은 침을 통증 부위에 놓은 상황에서 한의사가 환자의 어깨를 천천히 움직여 관절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치료법이다. 실제로 동작침법의 통증 완화 효과가 진통제보다 5배 이상 높다는 연구 논문이 통증 분야의 권위적인 학술지 ‘PAIN에 게재돼 과학적으로 효능이 입증된 바 있다.